김준아(52) 작가는 지난해 유방암 2기 판정을 받았다. 예상치 못한 진단이었다. 몸이 평소보다 좋지 않아 병원을 찾았는데 암 선고를 받은 것이다. 그는 같은 해 8월 종양 제거 수술을 받고 요양병원에서 항암치료를 병행하고 있다.
지난 19일부터 서울 종로구에 있는 아트스페이스 이색에서는 특별한 전시회가 열리고 있다. 김 작가는 10·29 이태원 참사로 세상을 떠난 젊은이들을 마주하면서 전시회 기획을 결심하게 됐다. ‘내 삶을 애도하는 방법’이라는 주제로 열린 전시회는 김 작가를 비롯해 6명의 동료작가가 아크릴화, 점묘화, 수채화, 사진, 설치미술 등 20여점의 작품이 걸렸다.
26일 갤러리에서 만난 김 작가는 “유가족은 아무런 예고 없이 사랑하는 자식 혹은 친구를 떠나보내야 했다”면서 “나라면 어떻게 내 삶을 애도했을지 궁금했다”며 기획 의도를 설명했다. 이어 “(관람객들이) 기계적으로 돌아가는 일상의 소중함을 느끼고 매 순간을 따듯하게 기억했으면 좋겠다”고 바람을 덧붙였다.
특히 눈여겨 볼 작품은 김 작가가 요양병원에서 그린 ‘달맞이꽃’이다. 푸른 배경으로 한 노란색 달맞이꽃 네 송이에는 이태원 참사 희생자들이 하늘나라에서는 행복하길 바라는 김 작가의 마음이 녹아있다.
사실 암 투병 기간은 김 작가가 신앙회복을 경험하게 된 시간이기도 했다. 김 작가는 4대 기독교 집안에서 태어났지만, 작업 활동, 육아 등을 핑계로 교회를 멀리했던 것이 사실이다. 덩달아 코로나19로 교회가 문을 닫으면서 그는 더 신앙과 멀어졌다고 털어놨다. 하지만 역경의 시간은 그를 더 단단하게 만들었다.
김 작가는 “인생의 어려운 시기를 보낼 때 부모님이 물려준 유산인 ‘신앙’이 불현 듯 떠올랐다”면서 “부모님은 신앙을 통해 어떤 상황에서든 이겨낼 수 있는 힘을 물려주셨다”고 고백했다. 이것이 그의 부모님의 신앙 교육 방식이었다.
“신앙생활을 한다고 마냥 행복하지만은 않습니다. 하나님은 누구에게나 역경과 고난을 허락하시는 분이에요. 다만 신앙은 그 과정을 극복할 수 있는 힘의 원천이 되는 겁니다.”
인터뷰 내내 긍정의 힘을 내뿜었던 그는 계속해서 다양한 작품활동을 이어갈 예정이다. 전시회는 오는 31일까지 진행된다.
글·사진=유경진 기자 ykj@kmib.co.kr
'미분류'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국 아이오와 83개 교회, 동성애 문제로 연합감리교회(UMC) 탈퇴 (0) | 2023.05.30 |
---|---|
영성은 일상에서 드러난다, 일상의 영성이 능력이다 - 조정민 목사 (0) | 2023.05.29 |
하나님이 등장하지 않는 성경 (0) | 2023.05.29 |
40여 년간 의료 봉사 ‘히말라야의 슈바이처’ 강원희 선교사 소천 (0) | 2023.05.29 |
알카에다에 납치됐던 기독교인 의사, 7년만에 풀려나 (0) | 2023.05.29 |
사랑은 감정이 아니라 행동이고 선택이다. (0) | 2023.05.29 |
온 집안에 독소를 퍼뜨린 야곱의 사랑 중독 - 팀 켈러의 내가 만든 신 중에서 (0) | 2023.05.29 |
젠더주의는 창조섭리를 부정하는 이념이다 - 류현모 교수 (0) | 2023.05.2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