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브로넥틴 단백질 생성을 담당하는 FN1 유전자에서 새로 발견된 변이가 알츠하이머 발병 가능성을 최대 70%까지 낮춘다는 연구 결과가 발표되었습니다. 이 발견은 보다 효과적인 알츠하이머병 치료법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과도한 피브로넥틴을 감소시키는 모든 것이 어느 정도 보호 기능을 제공해야 하며, 이를 수행하는 약물은이 쇠약 해지는 상태와의 싸움에서 중요한 진전이 될 수 있습니다."
제브라피쉬 알츠하이머 모델을 사용한 실험에서 이 가설이 뒷받침되었으며, 추가 실험이 계획되어 있습니다. 연구진은 피브로넥틴을 줄이면 아밀로이드 제거율이 향상되어 알츠하이머 병리와의 직접적인 연관성을 시사한다는 사실을 발견했습니다. 또한 피브로넥틴을 줄이면 신경교세포의 변화와 같은 다른 알츠하이머 관련 손상도 개선되었습니다.
연구진은 이 유전자 변이가 알츠하이머 발병을 잠재적으로 막을 수 있는 보호적 FN1 변이를 가진 사람이 미국에서만 수십만 명에 이를 것으로 추정하지만, 이 유전자 변이가 어떻게 도움이 되는지 정확히 알아내기 위해서는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예상합니다.
피브로넥틴 변이체는 APOEe4를 보유한 사람에게서 발견되었지만, 다른 변이체 APOE를 보유한 사람도 알츠하이머에 걸리지 않도록 보호할 수 있습니다.
알츠하이머 환자는 건강한 사람보다 혈뇌 장벽에 피브로넥틴이 훨씬 더 많다는 것을 알고 있으므로 피브로넥틴이 어떤 식으로든 관련되어 있는 것이 분명합니다. 이 사실이 밝혀지면 이를 기반으로 한 치료법을 개발할 수 있을 것입니다.
메이유는 "아밀로이드 제거를 훨씬 더 일찍 시작해야 할 수도 있으며, 이는 혈류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라고 말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신약 개발의 좋은 표적이 될 수 있는 피브로넥틴에서 이 변이를 발견한 것에 대해 기대가 큽니다."
이 연구는 신경 병리학 저널(Acta Neuropathologica)에 게재되었습니다.
'건강 종합'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홍콩, 최초의 비트코인, 이더 현물 ETF 승인 (0) | 2024.04.15 |
---|---|
설탕을 감미료로 대체하면 질병 위험 증가 없이 체중 감량 유지에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0) | 2024.04.15 |
설탕이 암 위험을 증가시킬 수 있다는 연구 결과 발표 (0) | 2024.04.15 |
천연 항생제가 들어 있는 음식 4가지 (0) | 2024.04.15 |
눈을 깜빡이는 것이 실제로 시력을 향상시키는데, 우리는 눈치채지 못했습니다. (0) | 2024.04.13 |
단식 스타일의 다이어트는 인간의 뇌에 역동적 인 변화를 가져 오는 것으로 보입니다. (0) | 2024.04.13 |
육류보다 채소를 먼저 먹어보세요 - 전문가들은 채소가 약물과 동일한 배고픔 방지 효과를 유발한다고 말합니다. (0) | 2024.04.13 |
스마트 폰을 포함한 기술에 중독 된 어린이는 정신병의 위험이 더 높다는 연구 결과가 있습니다. (0) | 2024.04.13 |
댓글